반응형
▶ 기업공시(Corporate Disclosure)란?
- 상장법인이 경영과 관련하여 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내용을 관계 법령과 거래소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신속, 정확하게 투자자에게 공개하는 행위다.
▶ 기능
- 정보형평을 통한 증권시장의 효율성을 실현하는 가장 중요한 제도' 로서 내부자거래 등 불공정거래 예방과 기업활동에 대한 사회적 감시 기능까지 수행한다.
- 적시공시와 정확한 공시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업공시제도의 법적 근거 및 유형
법적근거 |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이하 자본시장법) |
· 공시의무 법적 근거 · 주요사항보고서 제출의무 · 공시의무사항에 관한 거래소 공시규정 마련, 운영근거 |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금융위원회) |
· 발행시장 중심의 공시내용을 추정 · 유통시장 공시내용도 포함 |
공시규정(한국거래소) | · 유통시장에서의 공시의무 규정 |
▶ 공시분류
- 발행시장 공시 - 증권신고서, 투자설명서, 증권발행실적보고서 등
- 유통시장 공시
공적규제
(금융위원회 사항)정기공시 사업보고서, 분기보고서, 반기보고서 등 지분공시 임원등의 특정증권등 소유상황보고서, 주식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 등 특수공시 공개매수신고서, 시장조성·안정조작신고서 등 주요상황보고서 부도발생, 은행거래정지, 합병, 주식의 포괄적 교환·이전 등 자율규제
(거래소 사항)수시공시 주요경영사항의 신고공시 : 당일·익일 공시, 포괄조항 공시
지배회사의 종속회사에 대한 공시
지주회사의 자회사에 대한 공시
자율공시, 해명공시
조회공시공정공시 공정공시
▶ 상장법인의 성실공시의무
1. 공시의무의 성실이행 책임
2. 내부정보의 관리
3. 공시책임자, 담당자 지정제도
4. 공시책임자, 담당자의 책임성 강화
5. 공시책임자, 담당자 의무교육 이수 - 최초 신고되는 책임자 및 담당자는 6개월 이내에 공시전문과정을 이수하고 이 외에는 매년 1년 이상 공시 전문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 공시책임자 및 공시담당자 변경(신규 포함) 신고서류 - 거래소
- 공시책임자 및 공시담당자 신고서 [공시세칙 공시서식 5]
- 법인등기부등본 등 (공시책임자에 한해 제출)
- 공시책임자 직무수행 승낙확인서 [공시세칙 공시서식 6]
- 코스닥 시장 상장법인 공시책임자에 대한 공시권한 위임장 (공시책임자가 미등기임원인 경우) [공시세칙 공시서식 10]
- 재직증명서(공시담당자에 한해 제출)
※ 공시서식 양식 : law.krx.co.kr → KRX법규 → 코스닥시장 규정 → 코스닥시장 공시규정 시행세칙
'공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05]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0) | 2021.09.10 |
---|---|
[04] 주식관련사채 등 발행 (0) | 2021.09.08 |
[03] 수시공시(주요사항공시) - 영업 및 생산활동에 관한 사항 (0) | 2021.08.18 |
[02]주요상황보고서 - 영업·자산 양수도 (0) | 2021.07.02 |
[01]수시공시(주요상황공시) 제도 (0) | 2021.06.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