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병2 우회상장이란? ▶상장규정은 비상장법인이 상장법인과 합병 등의 기업결합을 하면서 상장법인의 경영권 변동을 초래함으로써 상장되는 효과가 있는 경우로 '우회상장'을 정의. 거래소는 합병 등 기업결합과 관련하여 ① 경영권 변동이 없으면, 비상장법인 최대주주등에 대해 의무보유 의무만 부과 ② 경영권 변동이 있으나 우회상장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우회상장 종목임을 표시(최장 2년간)하고, 비상장법인의 최대주주 등(5%출자자포함)에 대해 의무보유를 부과 ③ 경영권 변동이 있으면서 우회상장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상황(외형요건 미달 및 우회상장 미승인)에서 우회상장 추진 시 상장폐지 조치 ▶우회상장 유형은 크게 다섯 가지로 구분된다. 합병(분할합병 포함) _ 합병으로 인한 비상장기업 소멸 비상장법인이 상장법인과 합병 → 비상장법인은 .. 2021. 12. 1. [주식회사] ③ 합병, 분할, 해산·청산, 상장회사 특례 [이전글] 2021.07.14 - [주식회사] - [주식회사] ① 설립, 주식, 회사의 기관, 신주의 발행 2021.07.14 - [주식회사] - [주식회사] ② 정관의 변경, 자본의 감소, 회사의 회계, 사채 이어서 9. 합병 - 2개 이상의 회사가 계약에 의하여 청산절차를 거치지 않고 하나의 회사로 합쳐지는 것 흡수합병 A + B = A' 신설합병 A + B = C 소규모 합병 흡수합병시 존속회사에 해당 합병신주 및 이전자기주식이 존속회사의 발행주식총수 10%를 초과 X 합병교부금 및 제공재산가액이 합병회사 최종 대차대조표상 순자산의 5% 초과 X 주총특별결의 없이 이사회 승인으로 합병 20% 이상 주주가 통지 공고 후 2주간 내 서면으로 반대의사 통지 시 소규모합병 불가 간이합병 흡수합병시 소멸회사.. 2021. 7.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