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례로 보는 공시8

전환사채(CB) 흐름 알기 전환사채(CB)를 발행한 이후 진행되는 흐름을 알아보려 한다. 사례기업은 엑세스바이오다. * 전환사채를 소유한 투자자는 주가가 오르면 주식으로 전환하여 시세차익[ 수익률 = (현재주가/전환가액)-1 ]을 얻을 수 있고, 주가가 하락하면 만기까지 보유하다가 확정이자 이자율을 지급받고 상환받을 수 있다. 2016-10-25 주요사항보고서(전환사채권발행결정)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161025000002 - 이사회결의일 2016년 10월 24일 - 청약일 2016년 10월 25일 - 납입일 2016년 10월 27일 - 사채만기일 2021년 10월 27일 - 전환청구기간 2017년 10월 27일~2021년 09월 27일 - 권면총액 120억원, 전환가.. 2022. 1. 17.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 개정안 주요 내용_22.01.14 아래의 사항은 1월 16일부터 시행된다. 단, 별지 제 38-6호 서식은 2022년 1월 19일 이후 제출분부터 적용된다. 1. 개정이유 - 자기주식 취득, 처분 공시에 대한 이행실적을 정기보고서에 포함시켜 공시정보의 활용도 제고 ☞ 이행실적, 미이행 사유, 자기주식 매매 방향 변경 횟수 등 매매정보 추가 (관련조문 제 3-4-2조(자기주식)) - 특례상장기업의 취약점에 대한 정보가 투자자에게 충실히 제공되도록 관련 서식을 구체화 ☞ 비교대상 기간을 증권신고서에 추정한 기간으로 확대하고, 다양한 예시를 제공하는 등 작성지침 정비 (관련조문 : 제11-4-13조(특례상장기업의 사후정보)) - 증권신고서의 핵심투자위험에 대한 투자자의 이해를 높이기 위해 작성지침 개선 ☞ 핵심적인 투자위험 정보가 제공되도록 .. 2022. 1. 14.
전환사채 관련 규정 개정 2021.12.01 시행 전환사채(CB) 시장 건전성 제고를 위한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개정안이 2021년 12월 1일부터 시행됐다. 전환사채(CB)가 최대주주 등의 지분확대 수단으로 악용되거나 불공정 거래에 활용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함이다. ※ 유의사항 1. CB 콜옵션 행사, 자기 CB 매도 등을 통해 최대주주 등의 지분율이 발행당시 보다 증가하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2. 제3자의 CB콜옵션 행사, 자기 CB 매도 결정 등으로 CB의 소유자가 변경되는 경우 주요사항보고서를 제출해야합니다. 3. 시가하락 시 전환가액이 하향조정(리픽싱)되는 CB를 사모발행할 경우 다시 시가가 상승하면 전환가액을 상향 조정해야합니다. * 2021년 12월 1일 이후 이사회가 발행을 결의한 상장회사 CB에 대해 적용 (이사회.. 2021. 12. 10.
2020.12 상법 주요 개정내용 _ 기준일 정리 2020.12 상법 주요 개정내용 주주총회 소집통지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상법 시행령 제 31조 제4항) 소집통지 및 소집공고에 첨부 단 총회 1주전까지 전자문서로 발송하거나 회사의 홈페이지에 게재하는 것으로 갈음할 수 있음 임원 후보자 기재사항 강화(상법 시행령 제31조 제3항) 및 사외이사 재직기간 제한(상법시행령 제34조 제5항 제7조) 주총개최일 기준 5년 내 체납처분 및 회생절차, 파산절차를 진행한 사실 여부의 기재 해당 상장회사 사외이사 재직 6년 초과 금지 / 계열회사 합산 9년 초과 금지 기준일 제도의 변경(상법 제350조 제3항 삭제) 및 표중정관 개정 주주명부폐쇄기준일 및 주총의결권행사 기준일 변경 가능 정관개정 및 주주총회 일정 변경에 대한 이해 필요 감사위원 분리선출(상법.. 2021.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