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2 [09] 지분공시 - 5% 보고, 임원·주요주주 보고 지분공시는 투자자 및 경영권 경쟁자에게 지배권 변동 가능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증권시장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기업지배권 경쟁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주권상장법인이 발행한 주식 등을 대량보유한 자에 대해 그 보유상황을 공시하도록 하는 제도다. 지분공시는 크게 '주식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이하 5%보고)' 와 '임원·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구분된다. 5% 보고 임원주요주주 주권상장법인의 ▲주식등을 5% 이상 보유하게 되거나 ▲보유비율이 1% 이상 변동된 경우 또는 ▲보유목적이나 중요사항이 변경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5영업일 이내에 그 보유상황 및 변동, 변경 내용을 금융위와 거래소에 보고해야 함. - 상장법인의 임원 또는 주요주주가 된 날부터 5일 이내에 누구의 명의로 하든지 자기의 계산.. 2021. 10. 25. [08] 단일판매·공급계약 상장법인은 주요경영사항에 해당하는 사실 또는 결정이 있는 경우 그 사실 또는 결정내용을 공시시한(당일 또는 이익) 이내에 공시하여야 한다. 2021.08.18 - [공시] - [03] 수시공시(주요사항공시) - 영업 및 생산활동에 관한 사항 주요사항 공시에서 영업 및 생산활동에 관한 사항 중 많이 나오는 '단일판매·공급계약' 공시를 알아보려 한다. 2021년 10월 1일~13일 약 2주간 50건의 공급계약 공시가 나왔다(기재정정 건 제외). 일반적으로 수주를 통해 매출이 발생하는 구조인 제조업체에서 내는 공시다. 먼저 공시규정을 살펴보자. 단일판매계약 또는 공급계약 체결·해지 [익일 공시사항_매매거래일 기준] 최근 사업연도 매출액의 100분의 10 이상의 단일판매계약 또는 공급계약을 체결하거나 그 계약을.. 2021. 10. 14. [07]주요사항보고서 정기보고서(사업보고서, 분반기보고서)를 제출하는 상장회사는 중요한 사항에 대해 공시하여야 한다. ▶ 제출사유가 발생한 날의 다음날까지 금융위에 제출 (합병, 분할, 분할합병, 주식의 포괄적 교환 이전은 3일 이내) 주요사항보고서 중 거래소의 수시공시와 동일서식을 사용하는 항목은 하나의 서식으로 작성하여 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한번 제출함으로써 주요사항보고 및 수시공시의무를 동시 이행하게 된다. 즉, DART를 통하여 제출하면 KIND 시스템으로 실시간 전송 ▶ 상장법인은 거래소 수시공시 기한과 주요사항보고서 기한 중 빠른 날을 준수하여야 함 (통상 수시공시는 당일공시) 주요사항보고서 중 일부 항목은 거래소 수시공시 항목이 아님 - 무형자산에 대한 중요한 자산양수도, 중요한 자산양수도를 권리행사.. 2021. 10. 6. [06] 전환사채(CB) 2021.09.08 - [공시] - [04] 주식관련사채 등 발행 * 전환사채? - 일정한 조건에 따라 전환사채를 발행한 회사의 주식으로 전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 - 전환사채를 발행하여 주식으로 전환하는 경우 발행회사의 부채는 줄고, 자본은 증가한다. 이에 총자산(부채+자본)은 변동이 없다. - 장점 '회사' - 전환에 의해 사채상환의 효과를 누리고 자본 조달 비용이 저렴하다. '투자자' - 사채의 정확성과 주식의 투기성을 비교, 교량하여 선택할 수 있고 전환청구에 따라 채권자 지위에서 주주 지위로 변경된다. 전환사채는 보증 여부에 따라 보증부전환사채, 담보부전환사채, 무보증전환사채로 나뉘며 모집 방법에 따라 공모전환사채와 사모전환사채로 구분된다. 전환사채의 발행은 통상 일반사채의 발행.. 2021. 9. 30. [05]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현행 상법상 회사는 ‘정관’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주주총회 특별결의’를 통해 회사의 설립, 경영 및 기술혁신 등에 기여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회사의 이사, 집행임원, 감사 또는 피용자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음. 다만, 상장회사의 경우에는 정관이 정하는 바에 따라 최근 사업연도 말 현재 자본금이 ① 3천억원 미만인 경우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 ② 3천억원 이상인 경우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0 범위 내에서 이사회 결의로 집행임원, 감사 또는 피용자에게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으며(이사는 부여 불가), 이 경우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이후 처음으로 소집되는 주주 총회에서 승인(보통결의)을 받아야 함(상법 제340조의2, 제542조의3 및 동 시행령 제30조 제4항). 다만, ① 의결.. 2021. 9. 10. [04] 주식관련사채 등 발행 기업이 경영활동상 필요로 하는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 중 직접금융의 수단으로서 대표적인 유형이 유상증자와 회사채 발행이다. 회사채의 경우 일반적으로 기업은 무보증사채 등 일반사채를 발행하게 되지만, 사채로서의 안정성과 함께 주식으로 전환하여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는 특징을 지닌 신종사채로 발행할 수도 있다. 그 중 대표적인 형태가 전환사채(CB), 신주인수권부사채(BW), 교환사채(EB)다. 주식관련사채 등 발행 [주요사항보고서(법 §161①9호)] ▶ 공시규정 제6조1제항제2호가목(6) 주권 관련 사채권(법 제165조의10제1항에 따른 사채와 '은행법' 제33조제1항제3호에 따른 은행주식 전환형 조건부자본증권을 말한다. 이하 같다) 등과 관련하여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때 (가) 전환사채(CB), .. 2021. 9. 8.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